소켓


  의지의 소켓은 환자와 의지 사이에서 접촉하게 되는 지점이다. 각각의 환자에게 맞출 수 있도록 소켓에 작은 조절이 가능한 의지기사의 능력이 의지재활의 성공여부에 결정적일 수 있다. 소켓 디자인은 절단 위치와 남겨진 사지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다. 치료사는 의지를 맞추어주는 것이 적절한지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인 디자인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의지의 소켓은 체중을 지지해 주어야 하고 남겨진 사지를 견고하게 잡아주어야 하며 모든 활동을 하는 동안에 편안함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남겨진 사지의 각각의 부위는 압박을 다른 방법으로 참아낸다. 따라서 조직은 체중의 대부분이 넓고 편평한 뼈 주면이나 건 같은 압박을 견딜 수 있는 조직에 형성되도록 선택적으로 하중을 받게 하고, 피부와 근접해있는 신경과 예리한 뼈 돌출부위 같은 압박에 민감한 조직에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받게 한다. 이런 것은 압박에 민감한 부위를 오목하게 덮는 소켓과 압박을 견딜 수 있는 부위는 볼록하게 소켓의 모양으로 여유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케은 피부와 소켓 사이에 움직임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남겨진 사지를 견고하게 잡아줄 필요가 있다. 남겨진 사지와 소켓 사이에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면 환자는 활동을 하는 동안 더 불안정하게 되고 찰과상의 위험도는 더 높아지게 된다.


  의지기사가 각 의지의 소켓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의지기사가 남겨진 사지를 석고 붕대로 감고 개개인의 특성을 표시하고, 그 다음 양성 석고 모델을 만들고 그것으로부터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여 소켓을 제작하였다. 최근에는 의지기사는 남겨진 사지를 컴퓨터에 연결된 디지털 스캐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캔할 수도 있다. 완벽한 단면도와 3차원의 사진이 특별한 자료에 의해 만들어진다. 의지기사는 그 영상과 다른 자료를 중앙 제작 공장으로 보내게 되고 다른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제로 소켓을 만들게 된다. 스캔을 한 영상으로부터 디자인된 컴퓨터가 만들어 낸 소켓은 좀 더 정확하고, 수작업으로 제작한 소켓보다 비용에서 효율적이다. 오늘날의 모든 의지 소켓은 플라스틱 소재의 성분으로 제작된다. 일부는 내구성과 유연성을 위해 탄소 섬유가 함유되어 있다.


  소켓의 정렬 기구와 파일론(pylon)과 함께 적당한 발과(정강이 절단) 또는 무릎과널과 발(넙다리 절단)과 연결된다. 일단 의지가 조립되면 의지기사는 길이를 정하고 발을 정렬하고, 또는 무릎관절과 발을 정렬하기 위해, 편안함과 기능을 최대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렬 원칙에 따라 환자를 세워놓고 정적 정력을 시행한다. 의지기사는 정상적인 기능으로 정렬된 의지의 각 부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평행봉에서 환자를 걷게할 수 있다(동적 정렬). 이 시점에서 절단 환자는 보행 훈련을 위해 물리치료실로 의뢰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절차가 항상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일부 의지기사가 의지를 맞추는 과정에서 보행 훈련을 실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소켓 접촉면


  소켓 접촉면(interface)이란 남겨진 사지가 소켓과 맞닿는 부분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넙다리 의지를 제외하고는 무명 또는 양모로 만든 의지양말이 접속장치로 사용되었다. 두께와 겹이 다르게 착용된 의지양말은 의지 착용으로 인한 스트레스로부터 남겨진 사지를 보호하는 완충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많은 세월에 걸쳐, 정강이 절단에 폴리에틸렌 폼으로 된 삽입물이 양모로 된 의지양말과 함께 사용되었다. 비록 이것들이 완충제로 사용되기는 하였지만, 남겨진 사지와 소켓 사이에서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엇갈린 힘(전단력)을 줄일 수는 없다. 오늘 날에는 아주 다양한 접속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부드러운 젤 라이너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젤 라이너는 두께와 스타일이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 남겨진 사지 전체를 완충하고, 엇갈림 힘(전단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며, 으지를 발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특히 잔존 사지에 상처가 있는 환자, 민감성 피부 또는 이식 부위가 있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젤 라이너는 피부에 잘 들러붙어 남겨진 사지와 피부 사이에서 단단하게 밀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젤 라이너는 깨끗하고 건조된 남겨진 사지에 착용하지만, 일부 특수한 라이너는 착용 전에 피부에 파우더나 로션을 바르기도 한다. 비록 저자극성 재질로 제작되지만, 극히 드문 경우에 특별한 라이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도 있다. 민감성 피부를 가진 환자를 위해 특별 제작한 경우도 있다. 치료사는 환자에게 제공할 착용을 위한 올바른 지침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의지기사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부 젤 라이너는 아래에서 설명할 현가장치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비록 많은 환자들이 젤 라이너를 선호하는 상황이지만, 폴리에틸렌 인서트, 실리콘 라이너 그리고 폴리우레탄 라이너를 착용에 따른 만족감 비교 연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젤 라이너는 폼 인서트만큼 내구성이 없어, 환자에게 처음 맞추는 과정에서 동시에 두 개를 준다. 최근에는 더 새로워진 재료들이 내구성을 높여왔다.


  일부 개인들은 피부에 닿는 젤 라이너의 느낌을 좋아하지 않아서 남겨진 사지와 젤 라이너 사이에 얇은 나일론 천을 사용하기도 한다. 라이너는 남겨진 사지가 다르듯, 사이즈도 다양하다. 특별히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은이 함유된 나일론 천도 있다. 또한 적은 젤이 함유된 패드도 있는데 이는 염증이 있거나 뼈가 돌출된 부위에 여분의 완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이 추가될 때에는, 소켓을 맞추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떤 접속장치의 두께의 변화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현가장치


  환자가 일상생활을 할 때, 특히 보행의 유각기에 의지 소켓은 남겨진 사지에 대하여 반대로 움직인다. 소켓과 의지 사이의 어떤 움직임은 최소화하여야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불편함과 피부 찰과상 그리고 환자의 기능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소켓과 의지 사이의 움직임을 피스톤 작용이라 부르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피스톤 작용을 없애는 거이다. 흡입식 현가장치는 정강이 의지와 넙다리 의지 모두에 사용하고 남겨진 사지와 소켓 사이의 모든 움직임을 없애준다. 현가방법을 성취하기 위해 소켓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일단 진공상태가 된 소켓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또는 움직이면서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일방통행 밸브(one-way valve)가 사용된다. 이것은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해 상처와 찰과상이 없는 남겨진 사지에 넘다리 의지를 사용한다. 더 새로워진 기술들이 흡입식 현가장치의 많은 사용을 가져왔다.


  셔틀 락 또는 잠금형 라이너 시스템을 이용한 현가방법 또한 정강이 의지와 넙다리 의지 모두에 사용한다. 롤온형 라이너는 환부 먼쪽에 핀이 부착되어 있는데 환자가 본인의 체중으로 의지 안쪽으로 밀어 넣을 때 소켓의 말단 부위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런 시스템은 뛰어난 현가효과를 제공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가 걷는 동안에 남겨진 사지의 끝에서 소켓이 일정하게 들락거림으로 인해 남겨진 사지의 끝 부위에 작은 점액낭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양한 벨트, 스트랩, 네오프렌 슬리브 등이 현가방법으로 사용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