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과정을 하면서, 나에게 필요한 것은 실험, 연구 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논문 작성 그리고 이력서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깨닫게 된 사실은, 아니 다시 한 번 새삼 되새기게 된 것은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사실이다. 국문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논문을 쓰는 것도 벅찬데, 영어로 무언가를 작성해야한다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는 것이다. 선배들의 조언, 교수님의 지도, 여러 문헌, 그리고 구글 스칼라는 박사과정동안 없어선 안될 소중한 존재이다. 우리 연구실에서 교수님의 지도와 선배들의 조언을 통해, 그리고 그들의 작업 결과물을 참고하고 또 참고하며, 템플릿이 탄생하고 우리는 그것을 활용하고 응용하고 활용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CV와 논문의 Acknowledgement는 남들과는 좀 달랐으면 했고, 내가 또 새로운 템플릿을 만들고싶기도 했다. 그래서 지금까지 CV를 작성하고 Acknowledgement를 작성하며 참고했던 내용을 다시금 정리해본다. 오늘 정리해 볼 내용은, 총 세 가지, 아래와 같다.
이력 Curriculum vitae 소개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
Acknowledgement: 연구비 / 장학금 각종 혜택 언급
Acknowledgement: 연구를 하게 된 동기
논문 작성과, 코스웍만으로도 우리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그러므로, 그 외 다른 것들에는 시간을 최대한 아끼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시간을 최대한 아끼면서도 잘 작성해야하는 CV 그리고, 나의 연구와 논문에 도움을 주신 분들(공저자로써는 아님에도 불구하고)에게 감사의 표현을 하기 위해 마음을 들여 작성해 보는 Acknowledgement이다.
1. 이력 Curriculum Vitae 소개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
박사과정을 하며, 수시 업데이트 하는 CV. 국문/영문 버전을 쓰던 나는 사실 지금까지 영문버전 CV를 구글링을 통해 알음알음 썻더랬다. 그런데, 이전에 영어 논문 작성을 위해 구입해 둔 책에 '이력 Curriculum vitae 소개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에 대한 챕터가 있어, 기록해보려고 한다. 사실 내 생각에, 이 책의 많은 논문 표현들이 의학, 재활, 보건학 등의 논문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들은 아닌듯하여(내가 영어를 잘 몰라서 그런 걸수도 있지만..) 낯설기도 하지만 좋은 표현들은 충분히 참고하여 써 보면 좋을듯하다.
추후 포닥 등에 지원하며 CV, resume를 작성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사실, CV나 resume 영어로 작성할 때 찾아보는데 시간을 많이 쏟기마련인데, 이렇게 책으로 정리되어있으니 시간을 많이 단축하는 이점이 있다. 실험하고, 논문쓰고, 코스웍하기에도 바쁜 대학원생으로서, 이런 영어표현 숙지해두고 CV 작성에는 시간을 아끼면 좋을 것 같다.
내가 기록하는 내용은 모두 [영어로 논문쓰기 (The Essential Guide to Writing Papers in English)] 이라는 책에 있는 내용이다.
■ 학교 직위, 직함, 현재의 신분 소개
1. Lesile Pal is chair and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t the College of St. Catherine in St. Paul, Minn.
- 학과 department 앞에는 전치사 in을 쓰고, college 혹은 university 앞에는 전치사 at을 쓴다.
2. Jacob Edmond is a Ph.D. candidate (= a doctoral candidate) in the Comparative Literature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land.
- 박사 후보. 즉 현재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있으면서 곧 학위를 받고 졸업을 하게 될 학생을 일컬어 캔디데이트라고 부른다. 다른 말로 '박사 종합 시험을 마치고, 박사학위 논문만 남겨 둔 사람'을 흔히 ABD(all but dissertation:박사학위 논문만 제외하고 모든 것을 다 마친)라고 부른다.
3. Roman Kozlov is a doctoral candidate at Carleton University in Ottawa.
4. Linda Rae Bennett is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at the Australian Research Centre in Sex, Health and Society of La Trobe University.
- 흔히 우리가 '포닥'이라고 하는 것이 postdoctor이다. 박사학위를 받고 모교 혹은 다른 학교에서 이 같은 박사 후 과정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체로 학교 당국의 정식 고용인으로서 정기적으로 연구비, 혹은 급료를 받을 뿐만 아니라 연구 경력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Roger Barta is a full-time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Institute of ~
- ~의 책임 연구원
■ 학위 취득
1. Prof. Zimmermann received his doctorate in anthropology from Boston University in 1988.
- 학위 취득을 뜻하는 동사로는 위의 receive 외에 earn이 있다.
2. Lilly Goren holds a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Boston College.
3. She holds a B.A. from (received bachelors' degree) ~ and an M.A. and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Yale University.
4. Isaura Barrera holds a doctoral degree in education research and evaluation, with concentration in early childhood research.
■ 전공 분야
1. Her main area of expertise is the late prehistory of the Southeast.
2. Her primary field research interest is the Iron Age of Sub-Saharan Africa.
3. Her main research interests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native agriculture.
4. Her research interests related to the ~
5. Her area of research and teaching interest is ~
■ 최근 업적 소개
1. His recent work includes articles on ~ and ~.
- 최근 그의 연구는 ~을 포함한다. 즉, 그는 최근 ~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2. He recently completed a book on ~.
- 최근 ~에 대한 책을 완성하였다, ~에 대한 책을 탈고하였다.
3. Erb is a recent recipient of the Jack L. Walker Award for an outstanding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f ~.
- ~는 최근 ~상을 받은 바 있다. 즉, ~ 수상자이다.
4. He has received grants from the National Endowment of the Humanities (NEH) to develop new course curriculums in Western civilization a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2. Acknowledgement: 연구비/장학금 등 각종 혜택 언급
다음은, 논문 작성시 'Acknowledgement'에 연구비/장학금 관련한 내용을 적을 때 유용한 표현들이다.
논문의 Acknowledgement를 작성할 때, 매 번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몰라.. 선배들의 논문을 참고하곤 했는데. 다양한 표현을 발견했다. 내가 참고한 책은 '영어로 논문쓰기'.
■ Fund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research and writing were obtained from a variety of sources.
■ Funds for research were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Research and Exchange Board.
'연구비는 ~에서 지원 받았다'라는 뜻의 가장 대표적인 표현이다.
■ Research for this article was supported in part by a grant from the IREX, with funds provided by the NEH, which administers the Title Ⅶ Program.
■ The research and writing of this article were made possible by funding from the IREX and the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본 연구와 집필은 ~로붙의 연구 지원비 덕에 가능한 것이었다.
즉, ~의 지원비를 받아 본 논문 작업이 수행되었다.
■ Research for this article was conducted with funds from the Philips Faculty Fellowship at Bates College, whose generosity and support I gratefully acknowledge.
■ The staffs of the Academy of Sciences Library and The State Historical Museum were consistently helpful in uncovering previously unstudied manuscripts and in making available those already known.
■ Without the rich resources of Houghton Library, this volume would have been farless vibrant and colorful, and I am grateful to the capable staff members there, both in the reading room and in imaging services.
'~이 없이는 ~은 불가능했었을 것이다'란 가정법 구문을 이용한 표현이다.
* It would be never have been completed without the help and encouragement of my academic adviser, as well as my family.
■ I am also very grateful to Peter Cornell. As ever, I benefited from his vast knowledge and originality of mind.
■ This research has been supported by University of Melbourne Special Initiatives Grant and the American Research Council Small Grants Scheme.
본 연구는 대학으로부터 재정 도움을 받았다.
■ This article is based on research supported by IREX Individual Advanced Research Opportunities Program.
본 논문은 ~로부터 지원 받은 연구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 Work on this dissertation has been supported over the years by Faculty Research Grants (1988-93)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I have greatly appreciated the strength and encouragement of the ~.
■ Santa Clara University and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provided some of time and resources needed to complete this project.
3. Acknowledgement: 연구를 하게 된 동기
이번에는 학위논문에서 감사의 글 혹은 Acknowledgement에 '연구를 하게 된 동기'를 작성할 때 유용한 몇 가지 표현을 정리해보려한다. 본 내용은 '영어로 논문쓰기 (The Essential Guide to Writing Papers in English)'에서 많은 부분을 발췌한 것임을 밝힌다.
물론 내가 전공하고 있는 '의료, 보건학 계열'의 예시가 없어 아쉽지만, 그래도 단어와 몇 가지 표현을 바꾸면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 같다.
■ This book had its genesis in the spring of 1986 in Finland, where I was spending the academic year as a Fulbright Research Fellow working at the University of Helsinki Library.
* genesis: ~의 기원, 시초 / genealogy: 계보학, 족보학
- The conceptualization of fold sociology finds its genesis and development resting upon real situations and continuing needs in ~. ('민속 사회학'이란 개념화의 기원(시초, 발단)과 그 용어의 발달은 ~에서 나타난다.)
- The genealogy of this book begins with Andrew Dubill. Even before the idea of publication was broached, Andrew threw himself unabashedly into the task of creating an invaluable speech-writing resource. It is due to the quality of his efforts that published work even exists.
■ Twelve years of working on this book have engendered many doubts.
12년 간에 걸친 본 저서에 대한 연구는 ~을 낳았다.
■ This book has been a long time in the making - almost twenty years, if one goes back to its first incarnation.
■ My long preoccupation with the church music of the Eastern Churches has convinced me that ~. The narrative of the subsequent pages is conducted in this light.
- 저자의 오랜 연구로 ~한 믿음을 갖게 되었다. 본 저서의 이후 내용들은 바로 이같은 점에서 이루어졌다.
■ The present book was written over a period of ten years, and during that time many people aided and encouraged me in ways to numerous and varied to mention.
- 본 저서는 10여 년이란 세월에 걸쳐 쓰여졌다.
■ Materials were first gathered for this collection as part of a seminar on ~.
■ Versions of some parts of this book's chapters have been previously published, in somewhat different form. Permission to reprint my article, "Myth," was granted by Random House.
이 예문은 이미 다른 저널에 실린 논문들을 모아 단행본 책으로 낸 경우에 사용하는 표현. 아래 예문도 참고할 수 있다.
- My thanks for permission to use this material go to the editors of History of Education Quarterly ("The Myth of the Zemstvo School," 24, no. Winter 1994).
■ I have been fortunate to know many of ~, and I have been privileged to interview ~.
- 도서관 혹은 어떤 프로그램 등의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었다는 감사의 표현을 하고자 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말이 이 예문의 'have been privileged' 이다.
■ Discussions with these colleagues have helped inform this work.
■ This book is the result of a longstanding curiosity about ~. The problems and issues engaged here were first formulated for a dissertation chapter, ~.
- 이 표현은 '이 책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제점들은 실은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의 한 장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 dissertation: 박사학위 논문
■ This article is dedicated to the memory of ~.
이 같은 표현은 '작고한 ~를 기린다'는 표현으로 흔히 저자의 돌아가신 스승이나, 어느 유명한 학자에게 바치는 글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 This volume owes its origin to the seventh meeting of the Japan Anthropology Workshop with was held in April 1993 in Banff, Alberta, Canada.
이 책의 기원은, 즉 이 책은 어떠한 것이 계기가 되어 쓰여졌음.
- origin을 이용해 쓰여진 다른 문장
* The origin of this book goes back to the mid-1990s, when the China threat scenario became popularized in the media and seemed on the rise in Washington policy circles.
■ This book is written in the spirit of this passage above from William James.
■ It is in this spirit that this chapter presents a remarkably comprehensive yet comparatively brief primer on architects and ethics.
■ The second edition is substantially a reprint of the first except that, in the text, we have made a few corrections and clarifications, and have added some links in the arguments and a few references to new developments in literary theory.
■ The book is a real instance of a collaboration in which the author is the shared agreement between two writers. 공동 저작의 경우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