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wiset.or.kr/contents/information_view.jsp?sc_tab=1&sc_type=1&sc_page=1&pk_seq=33080&sc_cond=1&page=1

COVID-19 확산으로 인해 2020년 2월 이후 해외 학술대회 취소 및 연기, 연구소 폐쇄(외부인 출입불가) 등으로 2020년 글로벌 학술활동 지원사업 선정자의 학회 및 연수 참여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함에 따라 COVID-19 팬더믹 속에서도 지속적인 연구활동을 독려하고 여성연구자의 R&D 성과 확산을 돕고자 대체 지원사업을 아래와 같이 진행하니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2020년 9월 3일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안혜연



1. 사업목적
 ○ 논문게재료·영문교정료 지원을 통해 우수 학술지 투고를 장려하여 여성연구자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R&D 성과 확산 지원
 ○ 여성 연구자의 국내 학회 발표 참여를 통한 연구역량 강화


2. 사업내용
  (1) 지원대상
    - (대상1) 비정규직 박사급* 여성과학기술인
      * 이/공학 박사학위 소지자
      * 이/공학 석사학위 소지자인 경우 해당분야 연구경력 5년 이상인 자
    - (대상2) 상시근로자 50인 이하 소규모 기업*에 재직 중인 박사급 여성과학기술인(정규직 포함)
      * 소규모 비영리 연구기관 또는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벤처기업
    - (대상3) 이공계 박사과정 수료자
      * 박사수료자로 현재 대학에서 연구중이거나, (대상1~2)에 해당하는 자
  (2) 지원규모 : 45인 내외 ※ 사업신청 및 예산 소진 현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3) 지원내용 : 최대 100~350만원 한도 실비지원
  (4) 지원유형
    - (유형1)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논문 : 제1저자·교신저자로 게재(승인)된 논문게재료 및 영어논문 교정료 지원
      · 국제전문학술지 : SCIE, SCOPUS 등에 등록된 국제전문학술지
      · 국내전문학술지 : KCI등재 학술지
    - (유형2) 국내학술대회 구두발표 : 발표논문의 제1저자·교신저자에 한해 교통비, 체재비, 등록비 지원
  (5) 지원유형별 지원금액

유형 내용 금액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논문 논문게재료 및 영어논문 교정료 최대 350만원 지원
국내학술대회 구두발표 교통비, 체재비, 등록비 최대 100만원 지원



3. 신청 유의사항
  (1) 유형1+유형2 지원금 합산 금액이 350만원을 초과할 수 없음

ex) 유형2 ‘국내학술대회 구두발표 60만원을 지원받은 경우,
유형1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논문으로 최대 290만원까지 지원신청이 가능함

  (2) 선정자 본인의 개인카드 결제에 한해 지원금 신청 가능.(연구비 카드 및 법인카드 등 불가)
  (3) 타 연구비 등 다른 재원으로 지원받은 비용 신청 불가
  (4) 영문교정료 신청시, 카드 지출내역에 한해 신청 가능. 카드 결제증빙이 가능한 사업자와 거래 및 증빙 제출해야 함



4. 사업신청
  (1) 신청기간 : ~2020년 11월
      ※ 사업신청 및 예산 소진 현황에 따라 선착순으로 마감될 수 있음
  (2) 신청방법 : 제출서류 구비 후 온라인 접수
  (3) 제출 및 문의처
    - 신청서류 제출 : Email(
hdcpawiset@naver.com)
    - 신청 문의사항 : Email(
hdcpawiset@naver.com)
  (4) 제출서류
    -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제출서류 비고
1 신청서 [서식 1]
[붙임1] 지급관련 서류

1) 논문게재료 청구서

- 지출영수증(카드 또는 계좌이체확인서)
- 결제카드사본

2) 영어논문교정료 청구서

- 지출영수증(카드)

- 결제 카드사본

3) 통장사본

[붙임2] 논문사본 게재논문사본 또는
논문게재예정증명서+논문사본
[붙임3] 학술지 구분 증빙서류 학술지 등재리스트 출력물(해당페이지)
[붙임4] 사업대상 확인자료 1) 최종학위증명서 2) 사업대상 증명서
2 서약서 [서식 3]
3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서식 4]
4 만족도 설문조사지 [서식 5]


    - 국내학술대회 구두발표

제출서류 비고
1 신청서 [서식 2]
[붙임1] 결과보고서 학회 참여 결과보고
[붙임2] 지급관련서류

- 여비상세내역
- 교통비 티켓 및 영수증

- 등록비 영수증

- 결제 카드사본
- 통장사본

[붙임3] 학회 참여증빙

- 학회포스터(기관 및 일정)

- 학회프로그램지 중 본인발표 내용 증빙

(발표제목, 발표자 명)

- 수혜자 발표사진(발표증빙)

[붙임4] 사업대상 확인자료 1) 최종학위증명서 2) 사업대상 증명서
2 서약서 [서식 3]
3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서식 4]
4 만족도 설문조사지 [서식 5]


      ※ 사업대상 확인자료 제출 유의사항

1 최종학위증명서 1) 박사학위자 : 박사학위증명서
2) 석사학위자 : 석사학위증명서 +  5년 이상 경력증명서
3) 박사수료생 : 학사 또는 석사학위증명서
2 사업대상 증명서 1) 비정규직 재직자 : 재직증명서
* 비정규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포닥, 연구교수 등 제외
증명서 상 비정규직 또는 계약기간 명시
2) 소규모 연구기관 재직자 : 재직증명서 및 기타증빙서류 제출
 사업자등록증 (민간사업자)
 부설연구소 인증서
 상시근로자 수가 50인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공문 등)
3) 박사수료생 : 박사수료증명서 및 기타증빙서류 제출
 박사수료생으로 학교에서 연구중인 자의 경우, 참여연구원확인증 또는 연구생 등록증 제출
 박사수료생이면서 1), 2) 에 해당하는 경우 1), 2)가 제출해야하는 사업대상 증명서를 함께 제출해야함



5. 선정 및 지급절차
  (1) 선정절차 : 요건심사 후 지원금 지급
    - 지원사업 신청자 대상 여부 확인
    -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등 논문등급 밑 제1저자·교신저자 여부 확인
    - 국내 학술대회 구두발표 및 제1저자·교신저자 여부 확인
  (2) 논문게재료 지급 절차
    - 신청 : 매월 둘째주, 넷째주 금요일까지 회계법인에 이메일 제출 (2주단위 접수)
    - 지급 : 매월 1회 일괄 지급 (신청서류 제출 후 최소 2주~최대 4주 소요)



6. 문의처
  (1) 신청서류 관련 문의 : 현대회계법인 장숙영 회계사, 엄현주 과장(
hdcpawiset@naver.com, 070-4296-5973)
  (2) 사업내용 관련 문의 : WISET 인재육성팀 홍혜진 주임PM (
hjhong@wiset.or.kr, 02-6411-1023)



7. FAQ (2020.07.21.)
Q1. 공고일 이전 게재된 논문게재료 및 영어논문 번역료도 지원 가능한가요?
A1. 2020년 1월 1일 이후 청구 및 결제된 논문게재료 및 영어논문 번역료에 한하여 지원 가능합니다. 모든 금액은 본인 명의의 카드로 결제한 건에 한하여 지원 가능합니다.


Q2. 논문게재료를 지원받게 된다면 논문에 사사문구를 표기해야 하나요?
A2. 본 사업에 대한 사사문구는 작성하지 않습니다.


Q3. 지급절차가 개인비용 결제 후 사후정산으로 이루어지는데, 개인비용 결제후 지원이 안될 수도 있나요?
A3. 정해진 정부 예산 내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산 마감 후(45명 내외) 지원사업을 신청하게 된다면 지원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원 마감시 홈페이지 공고 및 메일, 문자를 통해 마감사항을 안내할 예정이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4.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지원신청과 국내학회 구두발표 지원신청이 모두 가능한가요?
A4. 네, 가능합니다. 다만,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지원신청금과 국내학회 구두발표 지원신청금 합산금액이 최대 350만원을 넘을 수 없습니다.


Q5.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지원을 신청할 경우, 게재(예정)된 각각의 논문 2건 이상에 대해 지원 가능한가요?
A5. 최대 350만원 이내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Q6. 국제 및 국내전문학술지 지원을 신청할 경우, 논문게재료로만 영어논문번역료로만 신청가능한가요?
A6. 최대 350만원 논문게재료, 영어논문번역료 구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A논문으로 논문게재료, B논문으로 영어논문번역료를 신청하거나 A, B논문 모두 논문게재료로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기타 특이사항 및 문의의 경우, 신청 전 WISET(hjhong@wiset.or.kr)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